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89

Git - 개념 및 루틴2 (vi, amend, gitignore) # git 기본 루틴 2 #1 commit 작성기준은 ‘현재시제’로 git은 기본적으로 영어를 기반으로 한 툴이다. 때문에 commit 을 할 때 사용하는 작명에 대해서 영어가 익숙해져야하고, 익숙해지고나면 드는 의문이 있을 것이다. ‘과거시제, 미래시제, 현재시제 중에서 어떻게 사용해야하나’ 결론적으로 commit을 작성할 때 -m 뒤에 사용되는 문구는 ‘현재시제’ 를 기준으로 작성한다. (git 공식문서의 작성의 추천사항이며, stack over flow에서 검색해보면 ‘과거 시제’로 사용 하면 좋을 것 같다고 말한다) #2 터미널에서 사용중일때 vim 접속시 git 이 심어져있는 폴더에서 어떤 파일이든 내용을 수정해서 git status를 해보면 당연하게도 ‘수정됨’ : 수정된 파일이름.확장자 이렇.. 2022. 10. 13.
Git - 개념 및 루틴1 (다시금 복습) # git 개념 및 루틴 기본설명으로는 git에는 간단한 개념이 있다. 처음에 연결로컬폴더, 연결할 github의 레파지토리 이렇게 2개가 있는데 연결로컬폴더를 ‘워크스페이스’ 워크스페이스에서 git add를 통해서 임시공간에 전송받는 곳이 ‘스테이지 영역’ 스테이지 영역에서 commit을 하면 비로소 github의 ‘레파지토리’ 로 들어가는 구조다. 우선은 연결할 로컬 폴더와 github의 레파지토리가 필요하다. 두개 다 준비되어있다는 전제하에 시작해보자 #1 연결로컬폴더로 이동 후 정보확인 1) git status 라고 입력했을때 아예 git과 연결이 안되어있는 경우가 대다수 일것이다. 예외가 있다면 이미 있는 폴더에 공용으로 쓰는 폴더에서 누군가 등록을 시켜놓은 경우 외엔 없다. 아무튼 이걸로 확인.. 2022. 10. 12.
Git - 기초 명령어들 # git의 기초 명령어들 일단 기본적으로 명령어에 대한 종류와 설명은 https://git-scm.com/docs 여기 공식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1 git 상태확인 git status # git 저장소가 지정되어있어야 뭔가 유의미한 정보가 나온다. # git 저장소라함은 repository를 의미한다. # git init으로 초기화를 시키고 commit이 가능한 폴더로 만들게 되면 그때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 저장소 초기화 git init # 내가 git commit을 하길 원하는 폴더로 이동해서 이것을 실행해주면 이제는 git commit 되는 장소가 여기가 된다. # 저장소를 초기화하기 전에는 언제나 git status로 확인해본 후에 진행해야한다. # 그렇지않고 이미 .. 2022. 10. 10.
Git - linux 명령어 모음 (계속 업데이트 예정) 왠 git에서 linux 명령언가 싶을 수도 있겠지만, 이게 유닉슨가 뭔가 하여간 기본베이스 환경이 같다보니깐 터미널로 명령을 내리는게 많은 git에서는 linux 명령어가 유용하다고 한다. # 기본적으로 git을 배우는데 터미널에서 쓰이는 유용한 linux 명령어에 대해서 배우고 있다. 그리고 git 용어는 기본적으로 모두가 짬뽕이 가능하다. 이를테면 ~/Desktop 이거는 ~/로 가장 앞으로 가준 후에 cd Desktop을 한 효과와 같다. #1 현재 경로를 finder로 열기 # mac open . # 응용버전 open 폴더이름 으로하면 해당 폴더로 cd된 이후에 열리는 구조가 된다. # windows # windows는 git bash로 열어서 활용해야 할것이고 start . 이다. #2 문서파.. 2022. 10.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