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 개념 및 루틴
기본설명으로는 git에는 간단한 개념이 있다.
처음에 연결로컬폴더, 연결할 github의 레파지토리
이렇게 2개가 있는데
연결로컬폴더를 ‘워크스페이스’
워크스페이스에서 git add를 통해서 임시공간에 전송받는 곳이 ‘스테이지 영역’
스테이지 영역에서 commit을 하면 비로소 github의 ‘레파지토리’
로 들어가는 구조다.
우선은 연결할 로컬 폴더와 github의 레파지토리가 필요하다.
두개 다 준비되어있다는 전제하에 시작해보자
#1 연결로컬폴더로 이동 후 정보확인
1)
git status
라고 입력했을때 아예 git과 연결이 안되어있는 경우가 대다수 일것이다.
예외가 있다면 이미 있는 폴더에 공용으로 쓰는 폴더에서 누군가 등록을 시켜놓은 경우 외엔 없다.
아무튼 이걸로 확인
2)
확인 후 연결이 안되어있거나, 내가 모르는 정보인데 변경을 해야한다면 그냥
git init으로 초기화를 하자.
git init은 ‘이제부터 여기를 git 커밋을 사용하는 장소로 지정하겠어’라는 의미로
ls -a 로 확인해보면 .git 이라는 숨김폴더및 내용이 뿌리내려있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3)
github 레파지토리 연결 확인
git remote -v
라고 했을때 암것도 안나오거나 정보가 나오는데 어쨌든 변경을 희망한다면
git remote remove 리모트이름
으로 remote를 지워준다. 보통의 경우에는 remote의 이름을 origin으로 명명해서 사용하니
삭제할때도 origin, 생성할때도 origin이라고 하면 서로간에 불편하진 않을듯 하다.
그다음으로는 github 레파지토리 연결
git 레파지토리를 생성하면 발생되는 https 주소를 복사한다.
git remote add 깃remote이름 github의https주소
예시로는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daniel4191/repository_for_git_exam.git
이렇게 하였다.
그리고 다시 git remote -v
라고 입력하면 fetch와 push 이렇게 2개로 나뉘어서 보일것이다.
#2 스테이징 영역에 자료 올리기
연결된 폴더에 2개이상의 파일이 있을때 1개의 파일만 커밋하고 싶다면
1)
git add 파일명.확장자
라고 하고
git status
라고 입력을하면 add된것은 초록색으로, add가 안된것은
‘추적하지 않는 파일’이라고 해서 빨간색으로 처리된다.
2)
만약 지정폴더 전체를 add하고 싶다면
git add .
이라고 하면 된다.
리눅스에서 띄어쓰기 후에 .을 입력하는 것은 ‘all’을 의미한다. 즉, 전체를 의미한다.
#3 스테이징 영역에서 레파지토리로 커밋
1)
git commit -m ‘’프로젝트이름’
이렇게 입력한다.
기본적으론 git commit
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걸 사용할경우, vim 편집기로 리드가 되고
보통의 경우에 commit 제목 및 설명으로 내용을 길게 적어야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건 다음 포스트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2)
몇번이든 add 와 commit을 하게되면 스테이징 영역에 기록이 남게되고
이것을
git log
로 확인해줄 수 있다.
여기서 각 commit에 대한 고유 주소값, 누가 작성했는지, 언제 commit이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매우 유용하다.
여기서 고유 주소값은 ‘커밋 해시’
라고 불리는 것 같다.
아직까지 commit을 했다고 해서 repository에서 확인되는 바는 없었고
최대로 확인할 수 있는 영역은 터미널을 이용한 리눅스 환경에서 git log로 commit된 내용을 확인하는 정도였다.
확실히 github홈페이지의 repository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학습을 추가로 하자.
'개발일지 > 임시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 branch (0) | 2022.10.13 |
---|---|
Git - 개념 및 루틴2 (vi, amend, gitignore) (1) | 2022.10.13 |
Git - 기초 명령어들 (0) | 2022.10.10 |
Git - linux 명령어 모음 (계속 업데이트 예정) (0) | 2022.10.10 |
Git - 이름, 이메일 확인 및 설정 (1) | 202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