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일지714 플러터 - const 사용해야하는 이유 - 메모리 관리 예를 들어서void main(){ runApp(MaterialApp(home: Text('hello')));} 라고 하면,Text('hello')라는 것을 사용할때마다A메모리 주소, B메모리주소, C메모리주소 처럼선언되는 변수의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서 저장되는 메모리 공간이 늘어갈 것이다. 하지만void main(){ runApp(const MaterialApp(home: Text('hello')));} 이렇게 const 를 붙여주게 되면MaterialApp을 가지고 Text 중에서도 hello를 가진 변수가 나오게 되면,선언될 때 마다 기존의MaterialApp - Text - hello를 찾아서, 이미 선언된 것이 있다면, 그것을 참조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코드가 늘어갈 수록, 중복되는 것이 많아질 수.. 2025. 4. 12. 플러터 - import 해오는 pubspec.yaml의 name 설정 import 'package:flutter/material.dart';// pubspec.yaml를 읽어오면서, 해당 파일의 name으로 설정 되어있는 것을 가져온다.// pubspec.yaml의 기본 이름은 해당 플러터 프로젝트와 동일하다. 만약, 프로젝트 생성 후,// pubspec.yaml에서 변경하려고 하면 일단은 yaml 파일 자체에서는 변경이 되었는데, 읽어오는게 의미가 없었다.// 구조는 'package:/ pubspec.yaml의 이름은 매우 중요하다.프로젝트 - lib이 기본이 되어서, import로 읽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프로젝트 이름자체와 pubspec.yaml의 name은 연동되어있는 값이라, 별개로 갈 수 없어서1. 프로젝트명을 해당 pubspec.yaml을 염두해두고 잘 만들.. 2025. 3. 28. 플러터 정리본 - HEX코드, 16진수 표현, option import 'package:flutter/material.dart';void main() { runApp(MaterialApp(home: HomeScreen()));}// 모든 Stateless 위젯은 build가 필요하다.class HomeScreen extends StatelessWidget { const HomeScreen({super.key}); @override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Scaffold( /// 335CB0 /// HEX 코드는 16진수를 표현하는게 0xFF 앞에 붙여줘야한다. backgroundColor: Color(0xFF34eb9b), // Padding을 통해서 가로간에.. 2025. 3. 28. 플러터(flutter) - 가로, 세로 (Row, Column) #0 잡설 드디어 dart 기초 문법 끝났고 플러터로 넘어왔다.분명 아직 기초에도 모자란 부분들이 있다. 1. 구조적 원리에 대한 감이 아직 명확하지가 않다.2. @로 시작하는 오퍼레이터에 대한 이해가 떨어진다.이거는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 공통 사항이니깐 공부하면서 보완해보자. #1 Row (가로) Row에서의 가로는 MainAxisAlignment,세로는 CrossAxisAlignment이다.#2 Coulmn (세로) Coulmn에서의 가로는 CrossAxisAlignment,세로는 MainAxisAlignment이다. #3 정리 특징1. MainAxisAlignment는 가고자 하는 방향의 최대 크기를 차지한다.특징2. CrossAxisAlignment는 가고자 하는 방향의 최소 크기를 차지한다.Cr.. 2025. 3. 28. 이전 1 2 3 4 ··· 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