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15 css - Transition Transition 전환효과에 대해서 설정한 만큼 텀을 주고 설정한 효과로 전환이 되게끔 하는 것 Property name(재산,소유물등) | Duration(지속기간) | Timing Function(시기) | Delay(지연) 2022. 11. 18. css - padding padding -padding은 근본적으로 설정된 위치에 대해서 설정한 값만큼 여유분을 가지게 되는 기능이다. #1 Apply to all four sides padding: 10px; #2 vertical(세로) | horizontal(수평|가로) padding: 5px 10px; #3 top | horizontal | bottom padding: 1px 2px 2px; #4 top | right | bottom | left padding: 5px 1px 0 2px ; 4개를 모두다 사용할때는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며 적용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2022. 11. 17. *매우중요 css - CASCADE(순차적용), SPECIFICITY(상세적용) css에 매우 중요한 개념을 알게되었다. CASCADE라는 개념이다. 쉽게말해서 css를 html에 적용시키려면 필연적으로 의 형태로 연결시키게 된다. 만약에 main.html에 연결된 css가 3개가 있을때 main.html의 head부분에는 3개의 link가 있을것이다. 이것을 link A link B link C 라고 해보자. 그러면 우선 link A를 쭉 훑는다. 만약에 link A에 해당하는 css안에 h1 태그에 노란색으로 적용하라는 css가 있으면 노란색으로 적용이 된다. link B를 다음으로 훑을때 h1 태그에 빨간색을 적용하라면 빨간색이 적용된다. 다음으로 link C를 훑을때 h1 태그에 초록색을 적용하라고 했다가 마지막에 가서 h1 태그에 분홍색을 먹여달라고 명령이 되어있다면 최종적.. 2022. 11. 16. 이력서 만들고, 지원 시작! 나는 분명 말끔하게 다 낮질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일까? 이력서를 돌리기 시작했다. 이제는 일을 그래도 할 수 있을거라는 생각과 더 이상은 이론에 매몰되기 보다 실무에 적용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엮이면서 지원하게 된 것일까? 아니면 실무능력을 하루라도 빨리 배양하고 싶어서일까? 그건 잘 모르겠다 하지만 최소한에 일을 시작할 수 있는 수준은 되었기에 지원을 시작했다. 이력서를 다시 만드는데 꼬박 하루가 걸렸고, 반응에 따라 조정이 필요할 수도 있을것이다. 언제나 그래왔으니깐 다만, 이 일자리 구하기가 얼마나 빨리 완수가 될지, 얼마나 늦게 완수가 될지 그게 궁금할 따름이다. 그러나 반드시 해낼 것이다 2022. 11. 16.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