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31

파이썬 [전역변수]모듈 __name__, __main__ 류 import 설명 # __name__은 입력해주었을때 만약 입력한 페이지에서 출력하게 되면 # __main__으로 나오게 된다. # 하지만 만약 내가 입력한 파일이 a인데, 실행을 b에서 import로 끌어와서 # 출력하게 되면 b파일에서 # __a파일명__ # 내가 import해서 쓰고싶은것. 이런식으로 출력된다. # 이것은 메인으로 실행되는 파일을 구분하기위해서 써주는 일종의 신호이며 # 이를 보다 깔끔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 if __name__ == '__main__': # print(f'__name__: {__name__}') # 으로 써준다. # 위의 것으로 크게 2가지 기능성을 기해볼수있는데 # 첫번째로는 __main__이 아닐때 자동 표시생략이 되는것이며 # 두번째로는 해당 if문 안에 출력문등을 집어넣게.. 2022. 5. 3.
[복기] 파이썬 난수 발생 모듈 import random rNum = random.randint(1,10) print(rNum) print() # random 모듈을 이용해서 0부터 100 사이의 난수 10개를 발생시켜보자에 대해서 # 이게 내 코드고 rNum2 = random.randint(0,100) for i in range(10): print(rNum2) # 이렇게 하니깐 rNum2가 외부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지정된 숫자만 10번 출력되더라 # 정답코드로는 rNums = random.sample(range(1,101),10) # sample함수는 1. 범위를 받고, 2. 몇개를 출력해줄지 정해주는 모듈이다. print(rNums) # 이렇게 되는데 # 심지어 리스트화 되어서 [43, 64, 80, 97, 5, 48, 10, 31.. 2022. 5. 3.
[복기] 파이썬 함수 및 중첩함수 기본 원리 # 중첩함수 def out_function(): print('out_function called!!') def in_function(): print('in_function called') in_function() # 만약에 이 부분을 in_function()으로 하면 작동이안되더라. # 왜 안되는고 하니 중첩함수의 경우에 내부함수는 그 내부함수를 포함하고 있는 부모 함수에 권한을 빼앗기는 기분이다. # 때문에 중첩함수로써 하위함수는 상위함수 안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 return을 함수 안에서 만나면 그 시점에서 해당함수는 종료되는거다. 밑에 얼마나 더 코드가 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out_function() 2022. 5. 3.
Day 5~6 제로베이스 2주차 시작! 제로베이스 1주차를 건너면서 그런생각이 들었다. 솔직히 별로라고 생각했던 부분이 간간히 있다. 하지만 1주가 지난 지금시점에서 생각해보면 오히려 정말 최고로 좋은 코스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 이유는 기초수학부분을 파이썬으로 풀어서 깔끔하게 잘 설명해주셨기 때문이다. 소위말하는 "올인원 패키지" 많잖냐. 수학도 해준다고하고. 그런거 한 2개쯤에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강의 총 보유수가 10몇개는 되는듯하다. 대부분은 난이도가 생각외로 너무 높다. 뭔가 착실하게 쌓여가는 느낌이 아니라. 100중에서 3정도 끝나는 시점쯤 되면 "자, 이쯤이면 됬지?" 이런느낌으로 갑자기 급 난이도 업이 된다; 그리고 코드 따라하는거야 쉽지만 그것도 어떻게 활용을 해야하는지 유기적이지도 않고 딱히 좋지 않다고 느꼈다. .. 2022.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