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일지/Network2

Network - 캐시데이터 관련 지식 오.. 오늘 알게 되었는데 정말 신기하다. 예시로, naver.com라는 페이지를 읽어오게 되면 그 naver.com에 link되어있는 html, css, javascript까지 다 읽어온다고 한다. 하지만 두번째 접속할때부터는 (일정 텀이 있는지도 모른다.) html과 "캐시데이터"형식으로 남아있는 css, javascript를 활용한다고 한다. 따라서 좀 더 빠르게 볼 수 있는 것이고, 변동사항이 자주 있을때 반영이 안되는것도 이런 이유때문인것같다. 그래서 변동사항에 대한 반영을 빠르게 확인하고자 한다면 "캐시데이터"를 지워주고 보면 변경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 두번째 중요한 사항은 위의 이유 때문에 가급적 최대한 static 요소들을 분리시켜서 뼈대가 되는 html을 간소하게 만드는 .. 2023. 1. 14.
Http - 서버 HTTP 상태코드 # 서버 HTTP 상태코드 200번대 : 성공 200 - 서버가 요청을 잘 처리했다. 201 - 작성됨. 서버가 요청을 접수하고, 새 리소스를 작성했다. 300번대 : 요청을 마치기 위해,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 301 - 영구 이동, 요청한 페이지가 새 위치로 영구적으로 이동했다. 302 - 임시 이동, 페이지가 현재 다른 위치에서 요청에 응답하고 있지만, 요청자는 향후 원래 위치를 계속 사용해야 한다. 400번대 : 클라이언트측 오류 400 - 잘못된 요청. 401 - 권한없음. 403 (Forbidden) - 필요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요청을 거부 404 - 서버에서 요청한 리소스를 찾을 수 없다. 405 - 허용되지 않는 방법. POST 방식만을 지원하는 뷰에 GET요청을 할 경우 500.. 2022.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