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31

파이썬 index (내가 입력한 것이 몇번째 인덱스에 있는지 반환) students = ['홍길동','박찬호','이용규','박찬호'] ind = students.index('박찬호') print(ind) 동일 명칭이 있을때는 가장 왼쪽 기준으로 먼저 나오는 것에 대한 위치를 반환 한다. # 인덱스 2부터 6사이의 박찬호를 찾는거다 # 인덱스도 마찬가지로 맨 뒤의 숫자는 -1이다. 즉, 2부터 5까지의 숫자를 찾아주는것 ind = students.index('박찬호',2,6) print(ind) 위의 2부터 5라는 의미는 인덱스의 정렬 넘버다. 2022. 5. 10.
파이썬 리스트 슬라이싱 단계 설정 # 슬라이싱의 단계 설정 numbers = [2,50, 0.12,1,9,7,17,35,100,3.14] # 단계설정 x print(numbers[2:-2]) # [0.12, 1, 9, 7, 17, 35] # 2단계 설정 print(numbers[2:-2:2]) # [0.12, 9, 17] # 2단계 설정 print(numbers[:-2:2]) # [2, 0.12, 9, 17] # 단계설정 x print(numbers[:2]) # [2, 50] 2022. 5. 10.
파이썬 리스트 insert응용 암호문 secret = '27156231' secretList =[] solvedList = '' for cha in secret: secretList.append(int(cha)) secretList.reverse() print(secretList) val = secretList[0] * secretList[1] secretList.insert(2, val) print(secretList) print() val = secretList[3] * secretList[4] secretList.insert(5, val) print(secretList) print() val = secretList[6] * secretList[7] secretList.insert(8,val) print(secretList) print(.. 2022. 5. 10.
파이썬 리스트의 연결 및 중복 제거 수식 # 리스트의 연결 # 거기에 더해서 중복되는 값들을 제거해 주는 수식 my_number = [1,3,5,6,7] friend_number = [2,3,5,8,10] print(f'my_number: {my_number}') print(f'friend_number: {friend_number}') addList = my_number + friend_number print(f'addList: {addList}') # # result = [] # for number in addList: # if number not in result: # result.append(number) # # # print(f'result: {result}') # set는 자체로는 정리가 되는 반면에 # 보이기만 바뀌어 보이는 것같다... 2022.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