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31

Day는 모르겠구 아무튼 2주차 목요일 후기. 예전에 책으로 된 수험공부같은거 할때 (공인중개사 등등) 하루에 10시간은 최소 중의 최소였던 기억이 있어서 너무 당연히 잘 될줄 알았는데, 다리뼈 회복이 있어서 잠을 많이 자야하는것도 있고 해서 많이 자고 이것저것 하다보니 공부시간이 아주 실망스러운 정도였다. 하루 왠종일 시간이 있어도 어떨땐 2시간이나 3시간 공부하더라; 아 이건 진짜 심각하게 아니여서 올린다고 올렸는데, 아직 시작한지 14일도 안되었지만 최대로 순수 공부시간이 하루에 8시간이더라; 평균 6시간이고.. 와.. 이정도로 쓰래기같이 공부했나 싶기도하더라 진짜 내 자신에게 실망스러운적이 계속 나온다. 근데 또 한편으로는 더 많이하고 싶은데 머리가 안돌아간다; 그리고 되짚어보면 공인중개사 같은 수험공부는 무한 인풋이다. 그냥 무작정 집어넣는.. 2022. 5. 5.
[복기] 등비 수열 코드 # 등비 수열(일방항) 공식: an = a1 * r^(n-1) # 등비 수열(합) 공식: sn = a1 * (1-r^n) / (1-r) # 내 코드 # mul이랑 sum이랑 약간 꼬였다. 그만큼 이해도가 낮았다. # 마지막엔 대강 생각으로 하기보단 감으로 끼워맞추기 식으로 해서 # 맞추게 되었다. 어쨌건 지금은 성공 a1 = int(input('a1: ')) r = int(input('R: ')) n = int(input('n: ')) count = 1 mul_num = 0 sum_num = a1 while count < n+1: mul_num += sum_num print(f'{count}번째 항의 값: {sum_num}') print(f'{count}번째 항까지의 값: {mul_num}') sum_n.. 2022. 5. 5.
[복기] 등차수열 코드 # 등차 수열 공식: an = a1 + (n-1) * d # 등차 수열 합 공식: sn = n*(a1 + an) / 2 # 내가 만든 성공 수식 # 등차 수열 수식 def arithmetic_sequence(): n2 = 1 numbers = a1 more_numbers = 0 while n2 < (n+1): print(f'{n2}번째 항의 값: {numbers}') more_numbers += numbers print(f'{n2}번째 항까지의 값: {more_numbers}') numbers += depend n2 += 1 a1 = int(input('a1 입력: ')) depend = int(input('공차 입력: ')) n = int(input('n 입력: ')) # 해답 코드 def sequen.. 2022. 5. 5.
[복기] 인원 카운트, 개별금액, 총금액 영수증 출력하기 # 다듬지 않은 내 코드 # 결과는 성공하긴 했는데 코드를 만드는 시간이 15분정도 걸렸다. def cal(): childPrice = 18000 infatPrice = 25000 adultPrice_over12 = 50000 handicap = 0.5 a = int(input('유아 입력: ')) b = int(input('할인대상 유아 입력: ')) c = int(input('소아 입력: ')) d = int(input('할인대상 소아 입력: ')) e = int(input('성인 입력: ')) f = int(input('할인대상 성인 입력: ')) cp = a * childPrice hcp = b * childPrice * handicap ip = c * infatPrice hip = d * inf.. 2022.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