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33 [7일차] 유데미 -Python 부트캠프 : 100개의 프로젝트로 Python 개발 완전 정복 개요이전에 6일차는 풀었기 때문에 바로 7일차로 넘어왔다.행맨을 진행하는데, 여기서 생각 외로 많은 시간을 머물러 있게 되었다.과정첫번째 시도몇 가지 단계로 쪼개서, 애니메이션이 출력되는 것은 생략하더라도 기초기능에 대해서는 구현을 하고 싶어서 시도 중인데,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import random# 밑준비1word_list = ["oregano", "captain", "creation"]x = random.choice(word_list)print(x)# 밑준비2box = ""for i in x: box += "_"print(box)print(f"문제는 {len(x)}자리의 수")# 자리 바꿔야하는 참고 수식guess = input("input character: ").lower()for i.. 2025. 9. 25. ONE THING(원씽[원띵]) - 게리 켈러,제이 파파산 / 후기리뷰 읽고 감명 깊었던 부분 1.191페이지“현재에 근거한 목표 설정”최종의 목표 - 언젠가 내가 하고 싶은 단 하나는 무엇인가?순익으로 연 10억 이상을 버는 플랫폼 운영 5년의 목표 - 최종의 목표를 바탕으로 향후 5년 내에 내가 할 수 있는 단 하나는 무엇인가?연 10억을 벌기위해서는 대규모 소금액, 혹은 소규모 대금액 둘중 하나의 요건이 충족 되어야한다.나는 좀 더 쉽다고 생각이 드는 대규모 소금액을 위해서 대용량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회사에서 근무를 할 것이다. 1년의 목표 - 5년의 목표를 바탕으로, 올해 내가 할 수 있는 단 하나는 무엇인가?대용량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회사 이전에 근본적으로 개발자로써 “내가 무엇을 하는지”,”무엇에 문제가 있어서 어떻게 해결해야하는지”“내가 무엇을 모르는.. 2025. 9. 25. [5일차] 유데미 -Python 부트캠프 : 100개의 프로젝트로 Python 개발 완전 정복 개요본 강의는 2022년 경에 프로그래밍을 처음 시작할때 "완전 정복"이라는 단어만 보고 호기롭게 구매했던 코스가 초심자의 눈에는 불가능하다고 생각이 들 정도로 높은 난이도에 쫄아서 3일차부터 "이건 어려운 강의야"라고 내 스스로 정의 내리고 보지 않았다.그리고 취업하기 좋았던 2023년 즈음에 몇 군데 면접이 와서 면접을 보러 갔었는데,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시작하기에 좋은 기회가 있었음에도 거절을 했다.하지만 지금 돌이켜보면 시작 하지 못해서 아쉬움이 있지만, 시작하지 않아서 다행인 부분도 있었다.그것은 CRUD에 대한 기초는 구현이 가능해도, 내 스스로 프로그래밍을 해보라면 "나는 과연 할 수 있을까?"에 대해서 물음표가 항상 남아 있었다.어느 시점 까지는 "우선 들어가서 익숙해지면 되겠지" 싶기도.. 2025. 9. 23. 운영체제 - 동기화 문제 #1 개요"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를 읽고운영체제의 동기화 부분에 대해서 작성해보고 싶은 내용이 있어서 작성해본다. 동기화의 기본 개념에 대해서 가장 잘 표현 된 예시는 "은행 입출금" 인 것 같다. 총잔액 - 100원A프로세스 - 1원 증가B프로세스 - 1원 감소일때, 위의 것을 실행한다면 100원이 된다고 생각 할 수도 있겠지만,실행할때마다 99원~101원 사이를 오갈 것이다. 만약 동기화의 개념이 어긋난다면.그리고 위의 케이스는 2가지 프로세스여서 이정도 작은 범위이지, 프로세스가 많아질 수록 변동 폭은 더욱 커질 것이다.동기화 개념은 이를 위해서 배운다고 생각한다.#2 왜 동기화가 중요한가동기화의 기본 배경으로는 필요한 개념이 몇 가지 있다.기본 동기화 개념-실행 순서 제어-상호 .. 2025. 9. 13. 이전 1 2 3 4 5 6 7 ··· 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