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89 Day 5~6 제로베이스 2주차 시작! 제로베이스 1주차를 건너면서 그런생각이 들었다. 솔직히 별로라고 생각했던 부분이 간간히 있다. 하지만 1주가 지난 지금시점에서 생각해보면 오히려 정말 최고로 좋은 코스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 이유는 기초수학부분을 파이썬으로 풀어서 깔끔하게 잘 설명해주셨기 때문이다. 소위말하는 "올인원 패키지" 많잖냐. 수학도 해준다고하고. 그런거 한 2개쯤에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강의 총 보유수가 10몇개는 되는듯하다. 대부분은 난이도가 생각외로 너무 높다. 뭔가 착실하게 쌓여가는 느낌이 아니라. 100중에서 3정도 끝나는 시점쯤 되면 "자, 이쯤이면 됬지?" 이런느낌으로 갑자기 급 난이도 업이 된다; 그리고 코드 따라하는거야 쉽지만 그것도 어떻게 활용을 해야하는지 유기적이지도 않고 딱히 좋지 않다고 느꼈다. .. 2022. 5. 2. [복기 및 활용코드] 파이썬 확률 코드 (매우 중요) # 확률 # 순열은 순서가 고정된 확률의 느낌이고 # 확률은 순서가 무작위적인 확률의 느낌이다. # 10개중에 6개의 꽝을 뽑을 확률 -> 10C6 # 6개의 꽝 중에서 3개의 꽝을 뽑을 확률 -> 6C3 # 10개의 카드중에서 4장이 당첨카드다. # [전체의 경우의 수] 위의 조건과 같은 경우에 대괄호 같이 만들어지는 확률이 10C6이고 (10개의 카드 중에서 6개의 꽝을 뽑을 확률) # 중괄호 같이 만들어 지는 확률이 # 1) [특정 경우의 수] 6개의 꽝 중에서 3장을 뽑을 확률 -> 6C3 # 2) [특정 경우의 수] 4장의 당첨 중에서 3장을 뽑을 확률 -> 4C3 #1 확률을 구하기 위해서는 순열이 필요하다. #2 때문에 아래와 같이 순열을 구하는 공식을 함수화 시킨 후 에 확률을 구해준다. .. 2022. 5. 2. 파이썬 계차 수열 코드 (공식 응용 버전) # 계차 수열 공식 # an = (3n^2 - 2n + 4) / 2 inputA1 = int(input('a1입력: ')) # 수식의 맨 처음 시작 inputN = int(input('an입력: ')) # 수식의 맨 마지막 숫자 valueN = ((3 * inputN ** 2) - (3 * inputN) + 4) / 2 print('an의 {}번재 항의 값: {}'.format(inputN, int(valueN))) a1에 2 an에 10 을 넣어주게 되면 an의10번째 항의 값은 137이다. 2022. 5. 2. 파이썬 시그마 코드 (공식응용 버전 포함) 첫번째. 반복문 while을 이용한 수식 (기본적으로 등비 수열과 무슨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다. 스스로 검토해보자) # 시그마 inputA1 = int(input('a1 입력: ')) inputR = int(input('공비 입력: ')) inputN = int(input('n 입력: ')) valueN = 0; sumN = 0 n = 1 while n 2022. 5. 1. 이전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 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