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16 javascript 컨셉 - 브라우저 (클라이언트), 백엔드(서버) 장고를 공부할때는 아예 몰랐던 부분이다. 브라우저에서 실행될 때는, 브라우저에 띄워놓은 것만 접근이 가능하고, 그외의 파일은 보안상의 이유로 접근이 불가하지만 이와 반대로 node.js 등으로 실행될때는 그 외의 로컬 파일에 대해서 접근이 가능하다. 단, 브라우저의 내용을 건드리지 못한다. 이 개념에 대해서 수백번 이상의 배포 실패를 거듭하면서 뭔지는 알 것 같은데 콕 집어서 말하지 못하는 것을 보니 알아야 할 것이 더욱 많다. 2025. 1. 6. 배포 실패 후 중간점검 나는 1달에 걸쳐서 배포 실패 중이다.이 1달 동안 깨닫게 되는 바에대해서 생각해본다.#1 나만 겪는 과정은 아니다.로컬단에서 어느정도 할줄 알고, 이걸 배포를 하게 되면, 여러가지 개념을 익혀야한다고 생각한다.단순 네트워크 개념은 심플해서, 이건 문제가 아니고, 문제는 각 어플리케이션이 어떻게 동작을 하는지,그 동작을 하기 위한 기저에는 어떤 것들이 수반되는지 등을 아는 것이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다보니, 마치 1X1 =1 일때는 쉬웠지만, 2X6X2 =24이런식으로 되듯이 알고리즘에만 복잡도가 있는 것이 아니고 구현에도 "복잡도"가 분명히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이 복잡도 속에서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숨쉬듯이 직관적으로 해결했을까? 나는 거의 없을것이라고 확신한다.지금이야 숨쉬듯 편하게 하겠지.. 2025. 1. 3. django 배포 실패기 와... 진짜로 미쳐버리겠다.지금 1달째 배포를 시도하고 있다.근데 아직도 성공을 못함.그 빡침의 서막을 공유해보고자 한다.#1 docker우선, docker의 끝에는 보통 aws를 사용하는 추세인 것 같다.이전에 aws의 요금 폭탄에 당해본 전적이 있으므로, aws를 피하더라도, docker라는 컨테이너 컨셉이 좋을 것 같아서 이미지화 해보려고 했다.1) docker와 연동나는 로컬로 개발을 해보라면 할 수 있을 것 같다.최소한에 회원가입, 게시판, 블로그 페이지 등 내가 해본 것들은 당연한 것이고 말이다.로컬은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배포 해본지가 2년이 넘었다보니, 배포를 해야겠다 싶어서 docker와 연동하려고 했다. 그런데 왠걸.. 로컬 - docker를 연결하는 과정에도 몇일간의 사투가.. 2025. 1. 3. java - class 생성 후 반복문 돌리며, 합집합, 차집합, 교집합 java는 여전히, "작성 된" 코드를 보면, 무슨 내용인지 "추측"은 가능 하지만,내가 작성 하라면, 진짜 기초 중의 기초 루틴 public ~ 하고 출력하는 것 외에는 아직너무 모자란 것 같다. 알고리즘도 배우면서, java 기초도 분명히 해야겠다. //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HashSet;import java.util.ArrayList;// ArrayListclass MySet { ArrayList list; // 생성자1// 객체 MySet() { this.list = new ArrayList(); } // 생성자2// 데이터를 담게되는 생성자 MySet(int[] arr) { .. 2024. 12. 31.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