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JavaScript26 javascript - 이중 등호, 삼중 등호 (불리언) javascript #1 이중 등호 (==, !=) *1 javascript의 불리언은 파이썬과 비교했을때 특이한 부분이 있다. 0 == ‘’라고 했을때 true로 나온다. 이중 등호일때는 값 자체가 같으면 맞다고 해준다. *2 이중 등호일때 값 자체가 같으면 맞다고 해줄때는 어느 한쪽의 타입으로 강제 변환하여 확인하게 된다. 0, ‘’, false 등이 같은 개념이다. —— #2 삼중 등호 (===, !==) *하지만 삼중등호라고 불리는 보수적으로 비교하는 것으로써 타입을 어느 한쪽으로 전환해주지도 않는다. 값도 같아야하고 타입도 같아야한다. 2022. 11. 24. javascript - template literals (python의 formatting 기능) javascript - template literals (python의 formatting 기능) *1 template literals는 제목에서 알 수 있다시피 python의 formatting 기능과 같은 원리라고 보면 된다. *2 핵심은 백틱 `과 ${}라고 보면 된다. (백틱버튼은 탭키 바로 위에 있다. 이유는 모르겠으나 ₩이게 표시될때도 있어서 당황스럽긴하다 -당황스러워서 찾아봤더니 ‘한글타자’인 상태는 ₩이 나오고 ‘영문타자’인 상태는`로 나온다.) #1 진행 예시 let product = 'Artichoke'; let price = 2.25; let qty = 5; #1-1 *위의 설정해준 변수들을 토대로 출력문을 작성하고자 할때 'You bought product name is ' + pr.. 2022. 11. 24. javascript - 내장함수(메서드)2. 인덱스찾기, 슬라이싱, 반복, replace javascript - 내장함수2(인수 넣어서 확인) #1 indexOf(arg) let m = ‘haah’; 이라고 m이 정의되어있을때 m.indexOf(‘h’) 라고 하면 h가 포함된 왼쪽 기준에서 가장 먼저나오는 h를 찾는다 즉 이 케이스에서 리턴값은 0이 나온다. 핵심은 arg위치에 들어갈 수 있는 인자는 1개며 m처럼 정의되어있는 변수안에 얼마나 많은 인자로 지정해준 문자가 있든 왼쪽 기준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인덱스값을 리턴해준다. 만약 인자값이 변수안에 없을경우 즉, 찾아도 값이 없는경우에는 -1를 리턴한다. #1-1 찾을때는 꼭 단어적으로 j 이런식으로 한개일 필요는 없다. jain 이렇게 찾으면 왼쪽 기준으로 가장 먼저 나온 jain이 시작되는 인덱스 값을 리턴한다. #2 slice(ar.. 2022. 11. 24. javascript - 내장함수(메서드)1. 대문자,소문자, 양끝에 있는 공백 제거 javascript - 내장함수 -비파괴 메소드 (출력당시에는 변한듯 보이나, 본질적으로 변한것은 아니다) (더 쉽게는 m.toUpperCase()로 출력이 대문자로 되더라도 다시 m을 출력해보면 여전히 hey i love you로 본 문장이 출력된다) #1 대문자로 만들기 1)m이라는 변수에 문장을 담아준다. let m = ‘hey i love you’; 2)m.toUpperCase() 를 하게 되면 m안에 담긴 내용은 모두 대문자로 출력된다. #2 소문자로 만들기 1의 방법에서 메서드만 toLowerCase() 로 해주면 m에 담긴 전체문장이 소문자로 출력된다. #3 가장 앞쪽 공백, 가장 뒷쪽 공백을 잘라내기 파이썬에서는 ‘ ’등을 함께 이용하여 strip, split으로 없앨수 있었던 것으로 기억.. 2022. 11. 24.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