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JavaScript26

JAVASCRIPT - 배열 커멘드 JAVASCRIPT - 배열 배열의 길이 구하기 .length 배열의 값 꺼내기 [숫자(인덱스)] 배열 맨 뒤에 값 추가 .push() 배열 맨 마지막 값 삭제 .pop() 배열 요소 정렬 .sort() 배열 데이터 확인 .includes(값) -> 값이 int면 그냥 숫자, str면 ‘값’ 으로 적어줘야함 배열 2개 연결 .concat(array2) 배열을 문자로 만들기 .join() .join()에서 ()안에 '/'를 넣으면 각 리스트안의 변수들이 /로 구분된다. 이를테면 name = ['짱','구','는','못','말','려'] 이렇게 되어있을때 name.join('/')라고 해주면 짱/구/는/못/말/려 이렇게 되고 name.join('o')라고 하면 짱o구o는o못o말o려 이렇게 된다. 배열 분리 .. 2023. 1. 6.
javascript - 반복문(루프)loop javascript - 반복문(루프)loop #1 반복문의 구조 for (초기표현; 지정조건; 증감표현;) 이렇게가 기본이다. 예시로는 이렇게 쓸 수 있다. for (let i = 1; i 2022. 12. 5.
javascript - 대괄호 입력방식이 닷 방식보다 낮다. 객체를 조회할때 "닷 방식"보다는 "대괄호 방식"이 더 안정적이다. 결과적으로 봤을때 닷 방식은 변수.키값 으로 쓰게 되는데, 만약 키값이 숫자라든지 키값과 동일한 내용을 담은 변수. 이를테면 키값이 key이고 num = key 라고 했을때 num을 대괄호 방식에는 변수[num]이라든지 변수['num']로 하면 어떻게든 해결이 된다. 하지만 변수.num 으로하게되면 num에 담긴 값의 타입에 따라서 작동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2022. 12. 3.
javascript - memory개념과 비교 기본적으로 컴퓨터언어 관련하여서는 메모리 관련 이슈를 거의 초기에 배우는 것 같다. 파이썬 이후로 두번째로 메모리 이슈를 배우게 되는 것 같다. 가령 자바스크립트에서 [1,2,3] === [1,2,3] 은 false다 컨텐츠 내용은 동일하지만 메모리값이 동일하지 않아서이다. 메모리란 일종의 주소값이라고 보면된다. 그리고 그 주소값은 각각의 정의에 부여된다고 보면된다. 우리들의 육안으로 보기에 위의 [1,2,3] === [1,2,3] 은 같아보이지만 메모리 값으로는 메모리A === 메모리B의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여기서 재밌는 개념이 나오는데 바로 "복사"다 복사를 하게되면 복사를 하게된 매개체와 동일한 메모리값을 사용하게 된다. let num = [1,2,3]; let numCopy = num; 이라고.. 2022.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