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일지/임시카테고리689 [제로베이스 데이터 사이언스] 마음가짐 공부를 하면서 느끼는건데, 이전에는 "이런 무의미 한것보단 의미 있는걸 하고 싶은데" 라는 마음으로 친절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알기를 원치 않았다. 하지만 공부를 할 수록 친절하지 않더라도, 알긴 알아도 100% 아는것이 아니라면 물론 무의미한 것일 수도 있겠지 예를들자면 나는 지금 파이썬을 익히고 있는중인데 다른 툴들도 이제 시작하는 단계에서 java를 배운다든지 하는것 그런건 문제가 되겠지. 하지만 약간은 무의미해 보이더라도, 시간이 남들보다 늦은것 같아도 차분차분, 하나하나, 한챕터 한챕터씩 쌓아올라가 보려고 한다. 이해 될때까지, 이해되고나서는 활용할 수 있을때까지, 활용이 용이해지면 다음은 프로젝트를 작은 단계부터 해보려고한다. 제로베이스의 커리큘럼이 아니였다면 이런생각을 하지도 못했을 것이다... 2022. 5. 28. [말랑말랑 알고리즘] 파이썬 음수 중 최대값 알고리즘 numbers = [-9,-22,-3,-7,-4,-5] # 사실상 결과값으로 대조군으로 쓰일 변수에 0이 아닌 리스트의 첫번째 값을 대입하는 것이 핵심이다. result = numbers[0] # numbers의 첫번째 값을 할당하고 시작. (0이 아니라) # 연산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아래의 수식을 주석의 for문과 같이 써주는 것이 좋다. for i in numbers: # 여기서 포인트는 [1]이 아니라 [1:]라는거다. # for i in numbers[1:]: if i >= result: result = i print(result) 2022. 5. 28. [제로베이스 데이터사이언스 3기] 1달차 합격. 이후 2달차 시작 제로베이스.... 정말 쫄렸었다. 1달차 마지막즈음에 있는 코딩테스트의 결과로 탈락하게 될까봐서.. 객관적으로, 보수적으로 나의 점수는 40점이였기 때문이였다. 하지만 70점으로 38명? 중에서 12등으로 합격했다. 한숨은 돌렸다. 하지만 12등이라고 해서 이게 크게 "격차가 벌어졌다" 이런생각? 전혀 안든다. 그도 그럴것이 38명중에서 12명정도는 코딩테스트에 아예 응하지도 않았고 3명은 0점이였기 때문이다. 아무튼 수강을 이어가서 너무 다행이란 생각뿐이다. 하지만 진짜 시작은 이제부터라는 생각도 든다. 어제 2달차에 있는 코딩테스트연습을 봤는데 결과는 처참했다. 부분점수가 있어야 0.5, 0.5, 0.5 로 1.5문제 맞췄다고 볼수있다. 3시간동안에 말이다. 문제의 반 이상이 알듯싶지만 뭔가를 모르겠.. 2022. 5. 28. [말랑말랑 알고리즘] 3자리의 각 자리숫자를 더해주는 기초 각 자리 숫자를 더해주는 알고리즘을 구하자면 해당 각 자리를 구하는 것이 핵심 중의 핵심이다. # 3자리 숫자. 각 자리수의 숫자를 출력하는 알고리즘 기초 num = 687 # 100의 자리 num100 = num // 100 print(num100) # 10의 자리를 위한 매개 변수 num10im = num // 10 print( num10im) # 10의 자리 num10 = num10im % 10 print(num10) # 1의 자리 num1 = num % 10 print(num1) 2022. 5. 28. 이전 1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 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