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24 GIT 브랜치(branch) 생성, 삭제, 이동 # git 브랜치 생성, 삭제, 이동 # 브랜치 생성 git branch 이름 git branch add-style 이라고 치게되면 master 브랜치를 기준으로 add-style이라는 브랜치가 생성되게 된다. # 현재 브랜치 확인 git branch 브랜치를 확인했을때, 앞에 *표시가 있는것이 현재 설정되어있는 branch 라는 의미다. # 사용 브랜치 변경 git checkout 브랜치이름 git checkout add-style 그러면 vscode기준으로 switched to branch ~~ 라고 메세지가 뜨고 왼쪽 최 하단에 기존의 master 라고 되어있던 branch가 add-style로 변하게 된다. # 추가 브랜치 유의점 만약에 서브로 만들어놓은 브랜치에다가 브랜치를 추가하면 그 가지에서.. 2022. 9. 21. GIT 다시 기본 설정 git 다시 기본 # 대전제 vs code를 기준으로 내가 작업하길 원하는 폴더를 오픈 한다. #0-1 git과 연결상태 확인 git config --global --list #0-2 git과 연결하기 # user name git config --global user.name '' 에서 ‘’에는 github상 가장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로그인후 내 아이콘을 눌렀을때 나오는 “Signed in as”뒤에 나오는 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 email git config —global user.email ‘’ 에서는 ‘’에 들어갈 정보로써 오른쪽 상탄의 프로필을 누르면 Access - Emails 에 가장 상단에 메인 이메일 주소가 나올것이다. 그것을 입력해주면 된다. # 0-3 개행문자 설정 # mac gi.. 2022. 9. 21. GIT fatal: bad config line 18 in file /users/daniel_choi/.gitconfig 깃에 diftool 설정을 할때, 타이핑으로 적으니깐 계속 fatal: bad config line 18 in file /users/daniel_choi/.gitconfig 류의 에러가 나와서 이렇게 했다가, 저렇게 했다가를 반복했다. 심지어 config파일을 지우고 새로 만들고를 몇번이고 반복했었는데, 그건 그거나름대로 difftool 설정이 날아가니깐 좋진 않겠다 싶어서 연구를 했다. 연구의 진행방법은 vscode로 외부편집을 진행하되, 저장하고 끄지 않는거다. 그리고 터미널에서의 반응을 살펴보기로 했다. 내가 추가하고 싶은 내용은 [merge] tool = vscode [mergetool 'vscode'] cmd = 'code --wait $MERGED' 이것이다. 따라서, 따라쓰는것도 잘했다고 볼.. 2022. 7. 9. GIT 기본 루틴 3 GIT 기본 루틴 3 # 터미널을 활용하여 진행 # 1 log 확인하기 git log 라고 입력하면, 현재 해당되는 디파지토리 의 브랜치에 해당하는 생성부터, 변경에대한 모든 기록이 나온다. 나오기는 q ========================================= # 2 git editor 설정 # —wait 옵션은 command line 으로 vs code를 실행시켰을 경우, vscode 인스턴스를 닫을때 까지 command 를 대기 # 차후에 git editor 수정해줄때 유용하다.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wait 예시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code --wait' =============================.. 2022. 7. 7. 이전 1 2 3 4 5 6 다음